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전체 글

(78)
[Docker] Windows10에 Docker 설치하기 Windows10에 Docker 설치하기 도커 설치 전 환경 설정하기 도커를 사용하기 위해 가상화 기술인 Hyper-V를 활성화시킨다. 작업 관리자에서 가상화를 사용함으로 설정했는지 확인한다. (안되어 있다면 BIOS에서 사용함으로 설정해준다) 제어판 -> 모든 제어판 항목 -> 프로그램 및 기능 -> Windows 기능 켜기/끄기 -> Hyper-V 선택 재부팅 도커 설치파일 다운로드 및 설치 아래의 사이트 접속하여 Get Docker선택하여 다운로드 https://hub.docker.com/editions/community/docker-ce-desktop-windows/ Docker Desktop for Windows - Docker Hub Docker Desktop for Windows Docker..
[Spring Security] Spring Security란? Spring Security 인증, 인가를 지원하고 주요 공격으로부터 어플리케이션을 보호해주는 프레임워크 스프링 기반의 어플리케이션 보안을 담당하는 프레임워크 서블릿의 여러 종류의 필터와 인터셉터를 이용해서 처리된다. 필터 : 서블릿에서 말하는 단순한 필터 의미 인터셉터 : 스프링에서 필터와 유사한 역할 필터와 인터셉터는 서블릿이나 컨트롤러의 접근에 관여한다. 필터는 스프링과 무관한 서블릿 자원 인터셉터는 스프링의 빈으로 관리되면서 스프링의 컨텍스트 내에 속한다 스프링 시큐리티를 이용하게 되면 인터셉터와 필터를 이용하면서 별도의 컨텍스트를 생성해 처리 인증과 권한 부여(Authentication, Authorization) 인증 : 사용자에 대한 검증. 자신을 증명하는 것 권한 부여 : 인증을 기반으로 ..
[Web] URI, URL, URN 그동안 웹 개발을 하면서 URL이라는 용어를 그저 자연스럽게(?) 사용하였다. 그러나 정작 URL이 무슨 약자인지, URI는 뭔지 또 URI와 URL의 차이점은 뭔지에 대한 것은 정확히 알지 못한 채 사용했던 것 같다. 그래서 이번 기회에 각각에 대한 차이를 명확히 이해하고 정리하려고 한다.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 URI는 웹 서버가 리소스를 고유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통합 자원 식별자이다. 쉽게 말해, 인터넷에 있는 자료의 ID라고 생각하면 이해하기 쉬울 거다. 예를 들어, 어떠한 자료가 있는데 이 자료의 이름이 다른 자료와 이름이 같다면 찾을 수 없다. 그러므로 해당 자료의 이름은 유일해야 한다. 즉, *URI는 유일해야 한다. * URI는 URL과 URN 두..
[Study] 2021-05-07 스터디 회고 사실상 첫 번째 스터디를 마쳤다!! 아직은 스터디 틀이 완벽히 잡히지 않아 정신없이 진행되긴 했지만 그래도 나름 성공적으로 끝났다ㅎㅎ 스터디는 위와 같은 순서로 진행했다. 회사에서 처음 docker라는 기술을 접하게 되었고, 현재 실무에서 많이 사용하는 기술이기 때문에 토이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docker도 함께 활용하면 좋을 것 같아 docker에 대한 간단한 개념과 명령어에 대해 소개하는 시간을 가졌다. docker 개념 설명은 조금 부족했지만 Window에서 docker를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서 간략하게 소개해주었다. docker 개념 설명에 대한 것은 다음에 조금 더 공부를 해서 추가할 예정이다. 다음으론 친구가 브루트 포스 알고리즘 개념에 대해 설명해주었다. 브루트 포스라는 단어를 들었을 땐 ..
[Study] 스터디 시작하면서... 지난주부터 대학교 친구와 오프라인 스터디를 시작하였다. 스터디를 앞으로 어떻게 진행할지에 대해 계획을 세우고, 어떤 주제를 가지고 할지에 대한 얘기를 나눴다. 둘 다 회사를 다니고 있기 때문에, 서로 현생에 무리가 가지 않는 선에서 스터디를 진행하기로 했다. 스터디는 2주에 한 번 오프라인으로 만나서 2주간 했던 스터디 내용을 서로 공유하고, 피드백하는 형식으로 진행할거다. 또한, 서로 학습한 내용을 공유하는데서 그치지 않고, 서로에게 알고리즘 개념이나 스프링 개념 등을 강의 해주는 방식으로도 진행하기로 했다. 그저 어떠한 내용을 스터디 했는지에 대해서만 공유를 하는 것보단, 서로에게 강의를 해주게 된다면 더 정확하고 확실한 정보를 공유하기 위해 더 열심히 공부 할 수 있으니까~😀 스터디 주제는 비교적 ..
[JPA] JPA(Java Persistence API)란? 해당 글을 인프런의 김영한님의 '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강의 내용을 바탕으로 정리하여 작성한 글입니다. 부족한 부분이 있다면 댓글 남겨주세요~ JPA(Java Persistence API) JPA는 자바 ORM 기술에 대한 표준 명세로, JAVA에서 제공하는 API이다. 기존 EJB에서 제공되던 엔티티 빈을 대체하는 기술이다 서로 지향하는 바가 다른 2개의 영역(객체지향 프로그래밍 언어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를 중간에서 패러다임 일치를 시켜주기 위한 기술로, 개발자는 객체지향적으로 프로그래밍 하고, JPA가 이를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 맞게 SQL을 대신 생성하여 실행해준다. 그렇다면 ORM은 무엇인가? 본격적으로 JPA에 대해 알아보기 전 ORM에 대해 먼저 알아보자. 사실 OR..
[JPA] JPA를 시작하기 전에 해당 글을 인프런의 김영한님의 '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강의 내용을 바탕으로 정리하여 작성한 글입니다. 부족한 부분이 있다면 댓글 남겨주세요~ ​ JPA를 시작하기 전에 먼저 JPA가 왜 나왔지에 대해 먼저 보자 현재 우리는 객체를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해서 관리한다. 객체지향적으로 개발한다고 하는데 실제로 코드를 까보면 다 sql이다... 데이터베이스는 sql만 알아들을 수 있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관계형 데이터베이스가 알아들을 수 있는 sql을 계속 작성해서 날려야 한다. 이러한 개발을 개발자들을 굉장히 번거롭고 귀찮게 한다. SQL 중심적인 개발의 문제점 무한 반복, 지루한 코드 (자바 객체를 sql을 자바 객체로 바꾸고...귀찮다) 컬럼 추가 시, 모델 객..
[JAVA] BufferedReader, BufferedWriter 이번엔 BufferedReader와 BufferedWriter 함수에 대해 알아보자. BufferedReader와 BufferedWriter는 함수 이름을 보면 알 수 있듯이 버퍼를 이용해서 읽고 쓰는 함수이다. 위의 이미지에서 보듯 버퍼를 사용하지 않고 입력을 받게 되면, 키가 눌리는 즉시 바로 입력된다. 반면 BufferedReader를 사용하면 버퍼가 가득 차저가, 개행 문자가 눌리면 버퍼의 내용을 한 번에 전송해준다. 그렇다면 왜 버퍼를 사용하는게 더 효율적이고 빠른지에 의문이 생길 수 있다. 예시를 통해 이해를 돕자면, 만약 우리가 커다란 항아리에 물을 채워넣어야 한다고 하자. 그 때 컵으로 한번씩 왔다갔다 하면서 물을 채워 넣는 것보다 대야에 물을 가득 담아 항아리에 물을 채워 넣는 것이 훨씬..

728x90
반응형